STEP 01
생활
-
생활문화로서 봉사활동 정착 필요, 주민의 자치성 실현
STEP 02
수요
-
자원봉사 참여에 따른 활동터전 확보
STEP 03
접근
-
지역내 플랫폼역할, 일상생활 활동
STEP 04
참여
-
주민센터의 서비스 확대 및 참여계기 마련
STEP 01
광주광역시 시 봉사센터
-
사업총괄 및 정책수립, 사업피드백 및 평가
예산지원(프로그램 운영비)
관계관 간담회, 캠프지기 전체 교육
STEP 02
자치구 구 봉사센터
-
동자원봉사 캠프 운영 총괄, 프로그램지원
캠프지기 모집, 교육, 배치, 컨설팅
동 캠프 관계관 간담회
STEP 03
동 주민센터 동 캠프
-
동 자원봉사 캠프 실제 운영, 1365수요처등록
캠프지기 근무공간확보(책상, 전화, 인터넷)
캠프지기 모집 및 등록 협조
동 단위 자원봉사 수요 및 욕구조사, 현황정리
동 주민 대상 자원봉사 홍보, 모집, 상담, 교육, 배치
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- - 홀몸노인 말벗, 장애인돌보기, 공한지 및 놀이터, 골목길 환경정화활동
- - 사회복지시설 봉사활동, 교통, 생활안전모니터, 취약지역 순찰
- - 청소년봉사활동 체험학교운영, 털목도리/환경수세미 만들기등
1365 자원봉사 수요처 인증처(인증요원 : 캠프지기)
관내 자원봉사 수혜대상 발굴 및 자원봉사자 연계
시, 구 자원봉사센터와 동주민센터 연계 자원봉사 추진
STEP 01
자원 봉사 생활화 장소
-
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이웃들과 친화적인 관계를 맺고 활동 하는 것
자원봉사로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장소이며, 사랑방, 장터 로서 기능
미래세대에 다시 돌려줄 환경, 문화, 사람 관계을 만드는 활동 공간
STEP 02
시·구 센터 거점
-
시. 구 자원봉사센터 전달체계의 현장활동 거점
동의 자원 조사 및 발굴(활동내용, 연계기관, 수요처, 소모임등)
동캠프지기의 근무공간이자 소규모 자원봉사센터로서 역할
STEP 03
주민 자치 실현 공간
-
지역주민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는 자치활동의 공간
지역주민이 마을의 주인임을 자각하고 행동하는 공동체의 공간
토론을 통해 규칙을 만들고 지키고 개선하는 주민 총회의 공간